목차

안녕하세요. 이번에 다뤄보고자하는 코인은 바로 질리카 코인입니다. 흔히 이야기하는 가상 자산의 일종으로 최근에 대접을 받기 시작하는데 어찌보면 시총 자체는 낮은편에 속해있지만 몇몇 이슈들로 인해서 조금은 인지도가 높아지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핫해지기 전에 분석을 해보고자 준비를 해보았어요.

질리카 코인?
질리카 코인의 경우는 네트워크 샤딩 기술을 이용해서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트랙잭션? 이걸 처리하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인지 발급량이 좀 많아요. 210억개라고 하니 말이죠. 다른 코인들의 경우보다 유난히 많은게 특징이지만 그만큼 널리 활성화를 시키려고 이렇게 준비를 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질리카 코인의 경우는 가장 빠른 블록체인 플랫폼을 우선적인 목표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질리카 코인의 경우는 다른 코인들에 비해서 더 빠르며 저렴한 수수료를 책정하여 진행을 하고 있어서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대응하는 코인은 바로 아크코인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겠죠 왜냐하면 두 코인의 목적이 둘 다 비슷하기 때문이랍니다.

질리카 코인 장점
질리카 코인의 경우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전송 속도를 비롯하여 수수료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하는데 현재까지는 네트워크 속도는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이랑 비교했을 때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네트워크 채굴 때문이라고 이야기를 하기도하는데 기존의 코인들의 경우 특히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경우는 트랜잭션이 도달하는데 속도가 상당히 느려져서 전송 또한 느려졌다고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질리카 코인의 경우는 네트워크 샤딩이라는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 병렬 진행 채굴이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당연히 이런 장점이 존재하면 좋겠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 반대에서 이 이야기하는 부분이 바로 보안성이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큰 문제가 바로 보안점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어요.

아마 누군가는 이야기하지 않을까 싶은데 코인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보안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좀 별로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심지어 퍼블릭 블록체인인지라 더더욱 위험에 쉽게 노출이 될 수 있어요. 이더리움만 하더라도 스캠이슈는 물론에다가 해킹을 통해서 여러 이슈들이 생겼던 경력이 있는데 그 위에 만들어진 코인이기 때문입니다.

질리카 코인 시세
현재 이 글을 작성하는 4월 29일 기준으로는 230원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금 글을 쓰는 부분에서 이야기를 한다면 하락장 이후 회복력은 다른 알트코인에서 중상 부분에 속해있으며 질리카 코인은 230원 좀 회복이 일어난 후 지금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이 코인의 경우는 대부분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 있는 상황이며 인정을 받았던 코인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이낸스 상장 당시에 3위로 선정되었습니다. 근데 그거 아시나요? 1,2위는 부정투표를 했다고 판명이 났기 때문에 1위로 인정을 받았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을 정도로 유명해요. 이런 점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위 글은 참고용이며 모든 투자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