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준비했습니다. 당연하게도 증여를 하게 되면 세금이 발생합니다. 막상 돈을 벌 때도 소득세를 신고하는데 증여를 하는데도 비용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를 몇몇 분들은 이중 세금이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많은 국가들이 이렇게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은 어쩔 수 있나요? 그냥 따를 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에 그리고 절세 꿀팁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해보았습니다. 특히나 공제나 이런 부분들이 잘 활용해야지만 제대로 절세를 받으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증여세란?
- 먼저 증여세는 본인의 재산을 친족이나 타인에게 제공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이는 취득한 자가 납부를 하며, 무상 취득한 재산에 대해서 부과하는 조세라고 합니다. 특히나 신고와 동시에 납부를 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부담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그래도 증여세 면제한도가 있기 때문에 일정 금액 이하로는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2. 증여세 면제한도
배우자 6억
만 19세 이상 자녀 5000만원
미셩년자 자녀 2000만원
손자녀 5000만원
그 외 친족 1000만원
이렇게 책정이 되어 있으며, 10년마다 초기화 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총 금액은 한도를 넘지 않아야하며, 신고 이후에도 면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부부끼리 부동산을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경우 10억이라면 6억에 대한 비용은 면제 그리고 나머지 4억에 대한 증여세만 부과가 됩니다. 알다시피 증여라는 것이 비용에 따라서 그리고 금액에 따라서 세율이 다릅니다.

3. 증여세 세율
증여세 세율의 경우는 누진공제액이 있습니다.
일단 1억 이하는 10%
1억~5억 20%(누진공제액 1천만원)
5억~10억 이하 30% (누진공제액 6천만원)
10억~ 30억 이하 40% (누진공제액 1억 6000만원)
30억 초과 50% (누진공제액 4억 6천만)
이렇게 책정이 되어있습니다. 만약 이해가 안된다면 31억이라면 30억 초과되는 금액인 1억에 대해서는 40%가 붙고 누진 공제액을 더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4000만원+1억6000만원으로 2억정도가 세금으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참고로 앞서 이야기드린 면제 한도 기준으로 책정이 되기 때문에 31억+면제한도가 실질적인 증여 금액이고 2억 정도 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태어나자마자 2000만원 정도 증여 후 10년 마다 계속해서 증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이 부분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 증여세 절약 방법
-증여세 절약 방법은 미리 준비하는 것과 추후 준비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미리 준비하는 것은 앞서 이야기드린 것처럼 10년마다 증여나 농촌의 경우 농업토지 증여나 여러 방법들이 있고 저축 후 실질적인 사용은 부모님 카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이 부분은 추후 기회가 된다면 별도로 다뤄보겠습니다.
- 나중에 준비를 할 수 있는 방법
그냥 세무사를 쓰는게 최고입니다. 기본적으로 절세 비용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수임료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설프게 건들 바에는 그냥 세무사를 사용해서 속 편하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무사 관련 홍보 아닙니다.
댓글